문제
우리는 사람의 덩치를 키와 몸무게, 이 두 개의 값으로 표현하여 그 등수를 매겨보려고 한다. 어떤 사람의 몸무게가 x kg이고 키가 y cm라면 이 사람의 덩치는 (x,y)로 표시된다. 두 사람 A 와 B의 덩치가 각각 (x,y), (p,q)라고 할 때 x>p 그리고 y>q 이라면 우리는 A의 덩치가 B의 덩치보다 "더 크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어떤 A, B 두 사람의 덩치가 각각 (56,177), (45,165) 라고 한다면 A의 덩치가 B보다 큰 셈이 된다. 그런데 서로 다른 덩치끼리 크기를 정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두 사람 C와 D의 덩치가 각각 (45, 181), (55,173)이라면 몸무게는 D가 C보다 더 무겁고, 키는 C가 더 크므로, "덩치"로만 볼 때 C와 D는 누구도 상대방보다 더 크다고 말할 수 없다.
N명의 집단에서 각 사람의 덩치 등수는 자신보다 더 "큰 덩치"의 사람의 수로 정해진다. 만일 자신보다 더 큰 덩치의 사람이 k명이라면 그 사람의 덩치 등수는 k+1이 된다. 이렇게 등수를 결정하면 같은 덩치 등수를 가진 사람은 여러 명도 가능하다. 아래는 5명으로 이루어진 집단에서 각 사람의 덩치와 그 등수가 표시된 표이다.
이름 <몸무게, 키> 덩치 등수
A | <55, 185> | 2 |
B | <58, 183> | 2 |
C | <88, 186> | 1 |
D | <60, 175> | 2 |
E | <46, 155> | 5 |
입력
첫 줄에는 전체 사람의 수 N이 주어진다. 그리고 이어지는 N개의 줄에는 각 사람의 몸무게와 키를 나타내는 양의 정수 x와 y가 하나의 공백을 두고 각각 나타난다. 단, 2 ≤ N ≤ 50, 10 ≤ x,y ≤ 200 이다.
출력
여러분은 입력에 나열된 사람의 덩치 등수를 구해서 그 순서대로 첫 줄에 출력해야 한다. 단, 각 덩치 등수는 공백문자로 분리되어야 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T = Integer.parseInt(br.readLine());
int[] kg = new int[T];
int[] cm = new int[T];
int[] rank = new int[T];
for (int i = 0 ; i < T; i++ ) {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kg[i] = Integer.parseInt(st.nextToken());
cm[i] = Integer.parseInt(st.nextToken());
rank[i] = 1;
}
for (int i = 0 ; i < T; i++) {
for (int j = 0 ; j < T;j++) {
if (kg[i] < kg[j] && cm[i] < cm[j]) {
rank[i]++;
}
}
System.out.print(rank[i]+" ");
}
}
}
|
cs |
키 몸무게 순위의 정보를 담고 있는 배열을 선언하고 배열의 길이를 각각 테스트 케이스 수로 설정한다.
순위 배열 rank[]의 값은 모두 1로 넣은 뒤 브루트 포스 알고리즘을 사용, 특정 인덱스에 해당되는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다른 모든 테스트 케이스들과 비교하여 키와 몸무게가 모두 작다면(즉, 덩치가 작은게 확실하다면) rank[인덱스값]을 1 늘려준다. 덩치가 큰게 확실하거나 덩치비교를 하기 애매하다면 rank[인덱스값]을 바꾸지 않는다. 즉, 제일 덩치가 크다면 rank[인덱스값]이 1을 계속 유지하게 되므로 마지막에 1로 출력이 된다.
출력 결과
'IT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코딩 1085 : 직사각형에서 탈출 (0) | 2020.09.10 |
---|---|
백준 코딩 4948 : 베르트랑 공준 (0) | 2020.09.08 |
백준 코딩 15652 : 백트래킹 (N과 M 4) (0) | 2020.09.05 |
백준 코딩 15649 : 백트래킹(N과 M 1) (0) | 2020.09.04 |
백준 코딩 15651 : 백트래킹 (N과 M 3) (0) | 2020.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