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정수를 저장하는 스택을 구현한 다음,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명령은 총 다섯 가지이다.
- push X: 정수 X를 스택에 넣는 연산이다.
- pop: 스택에서 가장 위에 있는 정수를 빼고, 그 수를 출력한다. 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 size: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 empty: 스택이 비어있으면 1, 아니면 0을 출력한다.
- top: 스택의 가장 위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입력
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1 ≤ N ≤ 1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 주어지는 정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보다 작거나 같다. 문제에 나와있지 않은 명령이 주어지는 경우는 없다.
출력
출력해야하는 명령이 주어질 때마다,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Stack <E> 클래스를 사용하지 않고 ArrayList로 Stack을 구현해보았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ArrayList<Integer> arr = new ArrayList<Integer>();
String str = null;
String command = null;
for (int i = 0 ; i < N ; i++) {
str = br.readLine();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str);
command = st.nextToken();
if (command.equals("push") && st.hasMoreTokens()) {
int value = Integer.parseInt(st.nextToken());
arr.add(value);
} else if (command.equals("top")) {
try {
System.out.println(arr.get(arr.size() - 1));
} catch (Exception e) {
System.out.println("-1");
}
} else if (command.equals("pop")) {
try {
System.out.println(arr.remove(arr.size() - 1));
} catch (ArrayIndexOutOfBoundsException e) {
System.out.println("-1");
}
} else if (command.equals("empty")) {
if (arr.isEmpty()) {
System.out.println("1");
}else {
System.out.println("0");
}
} else if (command.equals("size")) {
System.out.println(arr.size());
} else {
System.exit(0);
}
}
}
}
|
cs |
stack 자료구조 특성상 pop push를 사용하면서 자료공간의 크기가 변동하기 때문에
처음부터 크기가 고정되어 있는 배열을 쓰지 않고 ArrayList를 사용한다.
내가 입력한 문자열 값이 특정값과 같은지를 비교하려면 단순히 '=='를 써서는 안된다. 왜냐하면
문자열 변수명 str은 참조형 변수이기 때문에 해당 문자열이 있는 객체 주소 값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객체 안에 있는 값과 직접 비교를 하는 equals(Object e) 메소드를 사용한다.
Push
push 명령어의 경우 다른 명령어와 달리 공백과 함께 정수를 입력해야 하므로
'push'명령어와 입력할 정수값을 구분해주기 위해 공백을 기준으로 문자열을 하나씩 가져올 수 있는
StringTokenizer를 사용한다.
뒤에 입력한 정수값도 역시 문자열 자료형이기 때문에 Integer.parseInt 메소드를 사용해 정수로 변환시킨다.
pop
ArrayList에서 인덱스 값이 'arr.size() - 1' 이면 맨 마지막 값을 의미한다.
하지만 ArrayList에 어떠한 값도 있지 않아 size() 값이 0 이라면 pop을 입력했을 때
ArrayIndexOutOfBoundsException 예외가 발생하므로 try ~ catch 구문으로 예외를 잡아주고 -1 을 출력하도록 한다.
top
top 역시 pop과 마찬가지로 마지막 값을 보여줘야 하므로 ArrayList에 어떠한 값도 있지 않아 size() 값이 0 이라면 top을 입력했을 때 ArrayIndexOutOfBoundsException 예외가 발생하므로 try ~ catch 구문으로 예외를 잡아주고 -1 을 출력하도록 한다.
size
arr.size() 메소드로 바로 스택 크기를 출력한다.
empty
isempty() 메소드를 사용 -> boolean 자료형을 반환하는 메소드이므로
true 일 때 "1", false 일 때 "0"을 반환하도록 한다.
문제에 나와있지 않은 명령이 주어지는 경우는 없기 때문에 나머지는 else로 처리하여 강제종료하도록 System.exit(0)
으로 처리한다.
'IT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코딩 10250 : ACM 호텔 (0) | 2020.08.31 |
---|---|
백준 코딩 2869 : 달팽이는 올라가고 싶다. (0) | 2020.08.30 |
백준 코딩 1193 : 분수찾기 (0) | 2020.08.29 |
백준 코딩 1929 :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0) | 2020.08.28 |
백준 코딩 2292 : 벌집 (0) | 2020.08.28 |